
생애와 시대 그는 1712년 6월 28일 제네바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지 며칠 만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루소의 아버지는 시계공으로 작은 사업체를 꾸렸습니다. 그는 교육을 받았고 야심이 있었으나 사업을 등한시했고 사회적 사다리에서 내리막길을 탔습니다. 그는 잘못 배치된 사회계층에 속했습니다. 제네바는 공화국이었습니다. 공화국 정부들은 대게 그렇듯이 재배권은 원칙적으로 그랑 콩세이(대회의)의 수중에 있었으며 회의의 구성원이 될 수 있는 사람은 경제적으로 자립적인 남자 시민이었습니다. 루소와 제네바의 관계는 늘 위험스러웠습니다. 10대 시절 그는 어느 조각사의 도제로 들어갔지만 이내 그 작업에 싫증을 느끼고 장인의 권위를 혐오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그는 도시를 떠남으로써 장인에게서도 탈..

해링턴, 시드니, 몽테스키외 17~18세기의 공화주의는 근대 초기의 절대군주정과 근대 국민국가의 성장에 대한 반응이었습니다. 종교전쟁의 압력을 받은 데다 전통적 사회 기반이 약화되면서 중세식 왕권이 붕괴하자, 영국과 네덜란드에서는 입헌적이고 권력을 공유하는 정부가 들어섰고, 그 밖의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는 관료적 행정관들을 통해 작동하는 절대군주정이 생겨났습니다. 프로이센과 작센 같은 독일의 주요 공국들에서도 그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통일된 독일 국가가 탄생한 것은 19세기 후반, 민족 정체성과 국가 주권 사이의 단절이 오랜 기간 지속되어 아픈 상처로 느껴지던 무렵이었습니다. 영국 저자들은 국가의 민족 정체성에 관심을 가졌고 그것을 당연시했으며, 해링턴과 시드니의 저작에서 전혀 흥미롭지 않은 특징은 민..

명예혁명 17세기의 기준으로 보면 존 로크는 오래 살았을 뿐 아니라 , 그의 삶은 어느 시대를 기준으로 보더라도 다사다난했습니다. 그는 1652년에 청교도 법률가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전현 지위가 높지 않았으나 경제적으로 유복했고, 내전 시기에 의회파로 군대에 복무했습니다. 그는 전시에 기병대 지휘관을 지냈던 지역의 의원과 친분이 있었는데, 그 덕분에 아들을 웨스트민스터 학교에, 이후에는 옥스퍼드의 크리아스트처치에 보낼 수 있었습니다. 지난 두 세기의 상단 기간 동안 존 로크는 영국 자유주의자들이 자랑하는 미덕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는 신중하고, 양식 있고, 상식적인 인물이었습니다. 자유에 대한 과도한 열정으로 격변과 내정에 휘말리는 위험을 모면하려 했고, 권력을 지나치게 적극적으로 수용해 ..

근대 버지니아 울프가 "1910년 12월에, 혹은 그 무렵에 인간 본성이 변했다"라고 썼을 때, 그녀의 태도는 유쾌하고 도발적이었다. 사상사가와 정치이론가들이 최초의 '근대' 정치사상가 홉스냐, 마키아벨리냐, 둘 다 아니냐를 놓고 토론할 때 그들의 태도는 자못 진지했습니다. 마키아벨리는 기본적으로 회고형 인물이었습니다. 그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성공적인 정치체제는 로마 공화적이었습니다. 로마가 성공한 원인에 관한 그의 생각은 폴리비오스의 생각과 매우 비슷했습니다. 로마는 안정적이고, 법을 잘 지키고, 군사적으로 세계 최강이었습니다. 시민들은 충성스럽고, 공공 정신이 투철하고, 용감하고, 자제력이 강했습니다. 홉스는 후대의 저자들처럼 진보의 관렴에 호소하지 않고, 그를 고용했던 프렌시스 베이컨처럼 인간을 편..

로마의 폴리비오스와 키케로 키케로는 정치가였으나 철학자로서는 완벽했고 정치가로서는 자신이 생각한 것보다 완벽하지 못했습니다. 폴리비오스는 군인이자 외교관이었고,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에 이어 그리스 3대 역사가의 한 사람으로 꼽힙니다. 정치사와 군사의 저자로서 그를 지성적으로 계승한 사람들로는 로마의 역사가들인 타키투스와 리비우스가 있습니다. 폴리비오스의 저작인'로마제국의 성장'은 일부부만 전하지만, 로마인들의 정치적, 군사적 대성공에 대한 그의 설명은 키케로와 후대 저자들에게 로마식 '혼합'공화정을 이해하게 해 주며, 그런 혼합 공화정이 어떤 위험에 처하게 되는지 말해주기도 합니다. 폴리비오스는 펠로폰네소스 북서부 아키이아 출신의 그리스 귀족으로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이었습니다. 젊은 시적에는 군대에 복..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당대의 정치에 휩쓸렸습니다. 실제로 그는 기원전 323년 마케도니아의 지배에 맞서 반란을 일으킨 아테네 인들이 그의 충성심을 의심해 추방된 상황에서 죽었습니다. 그는 알렉산드로스대왕의 스승이었으며,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가 페르시아제국을 정복하러 떠날 때 그리스의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섭정으로 임명한 마케이도니아 장군 안티파트로스이 장인이기도 했습니다. 고대 역사가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자에게 헌신했다고 말하지는 않았습니다. 플루타르코스는 그가 알렉산드로스에게 독약을 주었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그 독약이 알렉산드로스의 때 이른 죽음을 초래한 원인인지 아닌지는 할 수 없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접경, 지금의 살로니카에서 동쪽으로 약간 떨..

플라톤의 역설 플라톤의 국가를 읽는 사람들은 그가 상상하는 폴리스에 정치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놀랍니다. 그러나 유럽 역사에는 일상적 정치로 갈등을 쉽게 해소할 수 있을 만큼 고도의 사회적 조화가 전반적으로 구현되어 있었으므로 '평범한 정치'로 갈등을 해소하는 사상의 흐름도 있었습니다. 1513년 출판된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가 그런 반정치적 유토피아의 시조는 아니었습니다. 올림포스와 발할라에는 신들의 불화가 있지만., 유대 그리스시도교의 신이 다시리는 천상의 왕국에는 정치가 없으리라고 봐도 좋을 것입니다. 유토피아 사상가들은 경제적. 정치적 경쟁 없이도, 또한 지배자가 동료나 일반인에게 굳이 자신의 결정을 이해시키지 않아도 사회질서가 유지디과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플라톤의..

그의 역사 아테네의 팽창은 몇 년 동안 다른 그리스 국가들과 간헐적으로 소규모 분쟁을 초래하다가 결국 기원전 431년에 전쟁으로 터졌습니다. 한 측은 아테네와 그 해상 속국들이었고 다른 측은 코린트와 스파르타가 이끄는 동맹이었습니다. 압도적인 군사력 차이를 감안한다면, 동맹 측은 신속히 승리했어야 하는데 그런 전력상의 불균형이 아니라고 해도, 아테네는 전염병이 시를 덮치고, 재앙에 맞서 단합을 유지할 수 있는 인물인 페리클레스가 죽은 직후에 강화를 요구했다면 치욕을 모면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전쟁은 27년간이나 지속되었습니다. 아테나가 그 오랜 기간 동안 펠로폰네소스 동맹을 막아낼 수 있었던 힘의 원천은 탁월한 창의력과 활력이었습니다. 또한 자금을 모으고 함대와 육군을 무장시킨 것, 걸핏하면 민..